교육복지는 궁극적으로
마을이 '공동체'로 되살아날 때 가능하다.
이제 10년이 되었으니
학교 안의 문화센터같은 방과후프로그램 위주의 사업이나
학생을 결핍되고 수정되어야 할 대상으로 보는 심리상담과 치료, 교정 중심의 사업을 넘어서는 길은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일이다.
교육복지(투자)우선지원사업이 가지고 있던 큰 덩치의 내용들은 이미 갈갈이 분산되었다.
교육복지사업의 정체성은 무엇이 될까?
하나는 교육복지사를 통한 통합사례관리(학교-가정-지역사회 연계와 통합적 서비스 조정관리제공)
그리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소통시킴으로서 마을공동체 속에 학교를 위치시키는 기능이라고 본다.
그리고 덧붙인다면 인권복지친화적인 학교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이벤트들(특히 교사-학생관계).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교육복지공동체라고 본다.
이게 안 되면 다 소용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하면 학교가 마을공동체 만들기에 한 주체로 참여할 수 있을까?
그 속에서 함께 연대되고 구성원으로 기능하며 성과를 같이 누릴 수 있을까?
사실 교육체계 중심의 '교육복지공동체' 구축이란 구호는 거의 실현불가능하다.
우리나라의 체제 상 지방자치와 교육자치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복지사업이 학교 밖으로 나가서 마을을 '휘젓기' 곤란하다.
그런데 한 두 해 전부터 마을이 움직인다.
'마을만들기'란 이름으로 민과 관이 움직여서 동단위, 구단위로 들썩들썩한다.
관이 그저 행정만 하고 지시만 하고 전달만 하던 역할을 넘어서
주민이 움직이도록 부추기기도 하고, 주민이 하려는 걸 돕기도 하고, 주민이 하자는 걸 하기도 한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민주주의, 지방자치가 실험되는 모습이다.
쉽지 않지만, 완벽하진 않지만, 주민 100%가 참여하지는 못하더라도.
아직 학교가 이런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는다. 학교의 특성이다.
그래도 교육복지사들은 이런 움직임에 관심갖고 참여해야하지 않을까?
특히 교육청의 교육복지사업 조정자들이라면 반드시!
다만 자칫 너무 지역사회로 기울면(나가면) "학교/교육청 밖으로 나가라"는 소리를 듣게될 지도 모른다.
균형을 잡아야 한다. 학교의 역할과 기능 쪽에 무게중심을 두어야 한다.
아래와 같은 움직임들에 관심을 가져봤으면...
-----------------------------------------------------------------------------------
의정부 동네변호사카페
http://m.the-pr.co.kr/articleView.html?idxno=10143
성북구 도시농부 프로젝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81&aid=0002405781&sid1=001
서울시 도시주거재생사업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MD20140226135906901.daum
도봉구 예술창작소와 구청이 지원하는 마을지원센터 이웃집 개소식
http://m.blog.naver.com/ddiba71/150186132963
서울지역마을공동체네트워크
강북마을모임
http://cafe.daum.net/gangbuknet
은평구마을공동체모임
고려대 마을헬스클러스터사업
2월 20일 고려대학교 자연계 캠퍼스 하나스퀘어 멀티 미디어룸(B1)에서
서울 동북4구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협회 창립식,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인근 대학과 대형 병원들이 협력)
노원 노동복지센터
시민노동법률학교 계속 강좌열어
공릉청소년문화정보센터
공릉청소년센터 계단 벽에 아이들이 그린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