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모두가 살기 힘들 땐 '죽지 못해 산다'는 말이 있었다.
그러나 이제 너무 잘 사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 아무 일도 없는데 네가 문제라는 듯한 세상에서
살기 힘들어 차라리 죽음을 택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돈, 재산, 직업, 젊음, 미모, 건강, 가족, 학벌, 관계,
인정, 꿈, 희망, 신뢰... 같은 것들은 마치 줄줄이사탕처럼 서로가 얽히고 연결되어 있다.
어느 하나를 잃드면 다른 것들도 같이 사라지거나 어느 하나를 얻으면 다른 것들은 좀더 손쉽게 다가오기도 한다.
그것은 바로 부 이다.
그래서 가난한 가정의 더 약한 사람들인 노인과 아이들이
먼저 세상을 포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가 취하는 대책은 우울증이라 처방하고 약을 주는 것이 고작이다.
"네가 문제인 거야. 네 정신이 병들었어."라는 이 메시지는 과연 도움이 될까?
자살을 시도하거나 생각하는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래도 살아야지'라는 말이 안 나온다.
아이들은 '억울함'과 버려졌다는 느낌, 세상에 아무도 나를 관심가져주지 않는다는 그 생각에서 좌절한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나 자주 전문성이란 면죄부를 내밀면서 정신병원으로 보내고, 빌라도처럼 손을 씻어낸다.
교육복지사들이여.
과연 잘 하고 있나 돌아보자.
교육복지사가 아무리 애를 써도 힘이 턱도 없이 모자라지만 말이다.
한숨과 눈물, 욕과 저주를 쏟아내다가 그마저 말라버리고 죽음밖에 할 것이 없어지기 전에 어떻게 해보잔 말이다.
--------------------------------------------------------------------------------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2명 “자살 시도”
전국 쉼터 10대 대상 설문조사
2012년 고교 1학년이던 A(18)양은 의붓아버지로부터 성폭행을 당했다. A양은 가출해 짙은 화장을 하고 화려한 옷을 입은 채 이곳저곳을 배회했다. 끔찍한 기억을 잊기 위한 몸부림이었지만 우울증은 갈수록 심해져 팔에 자해 흔적이 하나둘 늘어났다. 그는 청소년쉼터에 오기 전 자기 삶을 “쓰레기 같은 인생”으로 빗댈 만큼 괴로워했다.
B(18)군은 지난해까지 다니던 학교에서 ‘왕따’를 당했다. 한 달 100만원 수입으로 생계를 책임지던 어머니는 우울증까지 겹쳐 살림은 물론 아들을 돌볼 여유조차 없었다. B군은 스트레스를 음식으로 풀었다. 식이장애가 찾아왔다. “집과 학교 어느 곳에서도 위로를 받을 수 없었다”던 B군은 결국 학교를 나왔고 자살을 계획하기도 했다.
학교를 다니지 않는 최소 28만여명의 청소년(‘학교 밖 청소년’)이 정신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명 중 1명은 자살을 심각하게 생각했고, 5명 중 1명은 실제 자살을 시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 건강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청소년쉼터(이하 쉼터) 120여곳에서 생활하는 학교 밖 청소년 434명 중 35.3%(153명)가 쉼터 입소 1년 동안 ‘심각하게 자살을 고민했다’고 답했다. 설문조사는 지난 5~6월 전국 쉼터에 머무는 학교 밖 청소년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응답자 중 90명(20.8%)은 ‘구체적인 자살 계획을 세운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81명(18.7%)은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전국 중고생 7만 243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청소년 건강 행태 온라인 조사’에서 나타난 자살 생각(16.6%)·계획(5.7%)·시도(4.1%) 응답률과 비교하면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 건강이 매우 위태로운 지경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밖 청소년들의 식생활 또한 쉼터 입소 전 형편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입소 전 먹을 게 없어 하루 종일 아무것도 먹지 못한 경우가 ‘일주일에 1회 이상’이었다는 응답은 19.5%(84명), ‘한 달에 1~2회 정도’였다는 응답은 23.0%(99명)로 집계됐다.
정부는 2007년부터 전국 보건소를 중심으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지만 응하는 청소년이 채 1%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정신 건강에 대한 대책은 전무하다. 박혜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학교 밖 청소년 중에는 스스로 정신적인 고통을 가졌는지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면서 “정신 건강 진단은 신체검사와 달리 꾸준한 진찰과 상담이 필요한 만큼 지역 의료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730008015
-----------------------------------------------------------------------------------------------------
한편 지난 6월 13일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회장 이태수 꽃동네대 교수)가 주최하고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소장 이창곤)가 후원한 ‘한국 사회, 사회적 타살을 묻다’란 제목의 토론회가 열렸다. 실업과 저임금, 질병, 빈곤을 비롯한 사회경제적 요소에 의한 자살 등 이른바 ‘사회적 타살’의 의미를 경제·노동·보건복지 등 다양한 시각에서 살핀 토론회였다.
기사의 굵은 글씨들은 토론회 내용의 핵심어들을 보여준다.
자살률 OECD 회원국 중 1위 한국인 4대 사망원인에 꼽혀 실업·빈곤 등 사회경제 모순이 개인·가정에 농축돼 나온 결과 2000년 들어 노령층 자살 급증 가난하고 외로울수록 벼랑끝에 정부 5개년 종합대책 내놨지만 정신보건쪽 치료에만 집중 잘못 |
토론회의 결론부분에서 나온 주요 발언들은 이러했다.
“보건소 관계자들은 ‘자살을 줄이려면 우울증 약을 뿌리면 된다’고 한다. 정부의 대책은 치료를 중심에 두고 있지만 현장에서 접해보니 많은 이들이 우울증으로 가기 전에 소외와 굶주림에 고통받고 있었다. 예방적 복지가 필요하다.” (민지선 성북구청 복지연계팀장)
“자살 직전에 개인이 극도의 우울감 등에 빠져 있긴 하지만, 국가가 이를 스트레스·정신과적 문제 등으로만 접근한다면 결국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결과로 이어질 것”(신명호 사회적경제연구센터 소장)
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소득불평등이 ‘사회적 타살’의 주된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김교성 중앙대 교수가 조사한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와 소득 10분위 배율의 연도별 추이를 보면, 소득불평등이 심화할수록 자살자 수도 함께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와 난폭한 기업이 불평등과 사회적 타살의 주요 용의자라는 설명이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4282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