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서울신문 2014-05-03 16면 기사를 퍼온 것이다.
기사 출처: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503016003
새사연에서 낸 책이다. http://www.saesayon.org(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소 홈페이지)
나는 숫자에 약하다. 특히 숫자에 '원', '$', '년도', '평', 'km' ... 등등의 단위가 붙으면 더더욱이 뇌가 꼬이는 느낌이다.
원래 타고나기도 그렇겠지만 중학교 때 수학선생님한테 삐진 이후로 수학에 큰 결함이 생겼다.
대학 때 통계학도 낮은 점수, 대학원때도 조사통계론 땜에 재시험을 보기도 했다. -_-;;
그런데 숫자는 힘이 있다.
설명하기보다 숫자로, 그리고 그 숫자를 그림으로 제시할 때 훨씬 더 메시지가 간결하고 강력하게 전달되고 이해와 공감을 얻는다.
나 자신을 포함해서 말이다.
숫자로 세상을 바로 보자.
거짓 숫자들이 언론을 장식하는 요즘, 맑고 바른 숫자들이 소중하다.
책을 사서 읽어봐야겠다.
-------------------------------------------------------------------------------------------------------------------------
분노의 숫자/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지음
동녘/370쪽/1만 7000원
특정 현상을 설명할 때 숫자가 동반되면 내용이 훨씬 명료해진다. 아이를 낳아 대학까지 보내는 데 ‘3억 1000만원’(2012년 기준)이 든다면 ‘엄청나게 많다’는 말보다 부모의 부담 정도가 더 생생하게 와 닿는다. 삼성전자 등기임원의 평균 연봉(52억원)은 노동자 평균 연봉(3800만원)의 137배라고 하면 소득 격차가 확실하게 인지된다. 정확성을 전제로 한 숫자의 의미는 ‘우리는 얼마나 힘겹고 불공평한 삶을 살고 있는가’라는 의문으로 확장된다.
▲ 인포그래픽 동녘 제공
▲ 인포그래픽 동녘 제공
▲ 인포그래픽 동녘 제공
●통계청·기재부·OECD 등 다양한 자료 활용
사회현상을 드러내는 모든 숫자를 한데 모은 신간 ‘분노의 숫자’는 그래서 단순한 사회지표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책은 기획재정부, 통계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대학알리미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불공평한 한국 사회의 실태를 고발한다. 숫자 나열에 그치지 않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의미도 갖는다.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거론할 때 자주 나오는 출산율부터 보자. 서울시 25~44세 기혼 남녀의 희망 자녀 수는 평균 2.01명이지만 실제 출산율은 1.3명(2012년)이다. 희망과 현실의 차이는 보육 환경 탓이다. 2013년 현재 한국 정부가 지출하는 아동가족복지 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0.8%로, 미국(0.7%)보다 높고 스웨덴(3.7%)보단 낮다. 하지만 사교육비 규모는 점점 커진다. 영아의 41.9%가 사교육을 받고 비용 규모는 총 1조 8380억원에 이른다. 영·유아 시기를 빼더라도 짧게는 12년, 길게는 16년 동안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는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행복지수가 72.54점(OECD 국가 평균 100점 기준)으로 나온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고시원·쪽방 등에 사는 청년 139만명 달해
대학을 나온 뒤에도 삶이 가혹하다. 최저 주거 기준(부엌이 딸린 3.6평짜리 공간)보다 못한 지하나 고시원·쪽방 등에서 사는 청년(20~34세)이 139만명이다. 홀로 사는 청년의 23.6%가 주거 빈곤 상태다.
서울 대학가에 있는 하숙·고시원의 평당 임차료는 15만 2685원인데, 타워팰리스는 11만 8566원(2012년 한 포털 부동산 시세)이다. 주거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는 청년들은 결과적으로 더 큰 비용을 치르고 있는 셈이다.
이런 삶은 나아질 수 있을까. 가계의 실질소득은 1996~2007년 3.7%, 2008~2012년 2.8% 성장했지만 기업은 8.1%, 11.2%가 각각 뛰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경제성장의 열매는 대기업에만 집중됐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소득불평등을 측정하는 지니계수가 1990년대 초반 0.250 수준에서 1999년 0.288, 2009년 0.295로 상승하면서 1(완전불평등)에 가까워지는 것을 보면 한국에서 얼마나 부의 편중이 심해지는지 알 수 있다.
나열되는 숫자들은 순간적 분노를 일으켜 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삼으라는 뜻이다. 꼼꼼하고 알기 쉽게 펼쳐 놓은 ‘분노의 숫자’는 하루가 멀다 하고 마주하는 불평등의 참상을 “다시는 그런 일이 없어야 한다”는 속 빈 각오로 넘어가지 못하게 하는 ‘각성의 숫자’로 와 닿는다.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