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도 학교사회복지사 활동 효과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부등교(학교가기를 거부하는, 일종의 무단결석 현상)와 히키코모리(집안에 틀어박혀서 외부와 단절되게 살아가는 사람) 문제가 큰 골치거리이다. 요즘은 '이지메'는 좀 잠잠한 것 같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1년 동안에 30일(한 달)이상 결석하는 초중학생 가운데 질병.. 동향과 이슈 2012.09.14
"에듀푸어' 집이 있지만 빚내서 산 집값이 오르지 않고 매매도 되지 않아 이자 내느라 오히려 밑지고 사는 이들을 '하우스푸어'라고 부른다. 어제 신문엔 '에듀 푸어'란 단어가 등장했다. 교육 때문에 빚지고 사는 겉으론 있어보이지만 속은 곯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옛말에 '우골탑'이란 말이 .. 동향과 이슈 2012.09.14
폭력적인 아이가 그런 청소년 된다?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이들이 유형별로 분류도 해보고, 원인도 찾아보고 이런 시도, 저런 대안을 적용하며 연구하고 있다. 폭력의 피해자가 되거나 가해자가 되는 아이들의 특징 중 이들의 정서가 메말라있다는 연구결과가 얼마 전 발표되었다. 사실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 동향과 이슈 2012.09.14
청소년우울 우울하십니까? 우울한 사람들이 있다. 평소엔 명랑해도 우울할 때도 있다. 사춘기나 갱년기에도 우울하다. 호르몬의 영향이다. 시험에 떨어지고 일자리를 빼앗기고 사랑을 잃고 좌절하면 우울하다. 뜻한대로 안 되고 내 힘으로 개선의 여지가 없는 궁지에 몰렸을 때 우울하다. 고부관계.. 동향과 이슈 2012.09.14
아이가 웬수? 청소년상담원에 학부모 교육 관련해서 올려진 사진이다. 엄마는 아이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표현하지만 아이는 그걸 '잔소리'라고 듣는다. 아이는 나름대로 속상하고, 엄마는 속이 터진다. 그래서 아이더러 '이그..웬수'하고 싶어진다. 아이도 속을 말할 것이다. '누가 할 소리...' 엄마와 .. 책과 영화 2012.09.13
교육의 상상력 다른 교육은 가능하다. 교육의 상상력을 키워주는 책들 남의 나라 엿보고 배우기. 내가 재미있게 읽은 남의 나라 교육 이야기 1. <핀란드 교육혁명>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총서, 기획팀 지음, 살림터 <핀란드 교실 혁명: 세계 최고 학력을 낳은 핀란드 교육 교실에서부터 시작된다>.. 책과 영화 2012.09.13
힐링이 대세 "그냥 마음이 편하고 따스해지는 책 없을까요?" 어느 학교사회복지사 후배가 물었다. 그래... 힘들지... 게다가 나는 만나면 이 책 읽어라 저 책 읽어라고 어려운 책들만 들이대고... 가끔은 나를 도닥이고 스스로 '힐링'할 수 있는 책이 필요하다. 나는 어떻게 나를 스스로 힐링하는가? 나는.. 책과 영화 2012.09.13
그놈의 마르크스 마르크스를 모르고 사회과학을 한다고 할 수 없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도 마르크스를 읽지 않는다. 나 역시 제대로 읽지 않은 채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을 공부했고, 사회복지학을 공부했다. 헛 했다. (하긴 몰래몰래 이상한 책방에 숨어들어 영어나 일본어로 된, 복사한 책을 갔다가 조.. 책과 영화 2012.09.12
교육, 마을 교육이란 무엇인가. 사람을 만든다는 것은 가능한가? 정당한가? 소위 '중재', '개입' (intervention), 상담을 통한 치료, 치유 등 변화를 도모하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교육자, 상담자, 사회사업가가 된다는 것은 아이, 학생, 내담자, 어린이에 대해 무엇이 되는 것인가? 사람은 변하는가?.. 책과 영화 2012.09.12
뇌를 이해하게 도와주는 책들 최근 뇌과학이 크게 발전하면서 그동안 심리나 교육, 상담으로만 해결하려던 난제들을 뇌속 신경계와 호르몬을 관찰하면서 이해하고 또 치료하는 쪽으로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관련될만한 책들 중 읽은 것들을 소개한다. 1. 청소년과 사춘기의 특징을 만들어내는 뇌 도대체 아이들은 사.. 책과 영화 2012.09.12